혹시 거래하시는 가상화폐 거래소의 수수료에 대해 정확히 알고 계시나요?
가상화폐 거래소 수수료는 실제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거래 수수료는 거래소에 따라서 몇 배가 차이나기도 하는데요. 꼼꼼히 따져보지 않으면 투자 수익이 수수료로 새어나갈 수 있으니 거래소별 수수료를 꼭 비교해 보셔야 합니다.
오늘은 국내 5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원화(KRW) 마켓 거래 수수료부터 원화를 은행계좌로 입·출금할 때 수수료, Maker/Taker의 수수료 차이, 그리고 거래소별 특징·장단점을 한 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면 투자에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5.08.12 - [Money&Economy Pod] - 업비트 거래방법 완전정복(+비트코인 이더리움 모으기)
업비트 거래방법 완전정복(+비트코인 이더리움 모으기)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죠? 특히 알트코인의 대표주자인 이더리움(ETH) 가격이 600만 원에 육박했고, 비트코인 역시 1억 6천만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에 근접했습니
www.gomoneymore.com
5대 거래소 수수료 비교 요약
거래소 | KRW 마켓 수수료 | BTC 마켓 수수료 | 원화 입금 | 원화 출금 |
업비트 | 일반 0.05% / 예약 0.139% | BTC·USDT 0.25% | 무료 | 1,000원 |
빗썸 | 기본 0.25% / 쿠폰 0.04% | BTC 무료 | 무료 | 1,000원 |
코인원 | 기본 0.2% / API 0.02% | — | 무료 | 1,000원 |
코빗 | 무료 플랜 0%/0.2% 기본 플랜 0.1%/0.1% |
— | 무료 | 1,000원 |
고팍스 | maker -0.025% / taker 0.075% | — | 무료 | 1,000원 |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는 일반 주문의 경우 수수료가 0.05%로 비교적 저렴한 편이지만, 예약 주문은 0.139%로 다른 거래소들보다 조금 더 높습니다.
BTC·USDT 마켓에서는 0.25%가 적용됩니다. 원화 입금은 무료이고 출금은 건당 1,000원이 부과됩니다.
빗썸은 기본 수수료가 0.25%이지만, 수수료 쿠폰을 사용하면 0.04%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특히 BTC 마켓은 거래 수수료가 무료이며, 원화 입금은 무료, 출금 다른 거래소들과 마찬가지로 1,000원입니다.
코인원은 기본 수수료가 0.2%이고, Open API를 이용할 경우 maker/taker 모두 0.02%라는 매우 낮은 요율이 적용됩니다.
원화 입금은 무료이며 출금은 1,000원이지만, 이벤트에 따라 면제되기도 합니다.
코빗은 두 가지 플랜을 제공합니다. 무료 플랜에서는 maker 수수료가 0%로 완전 무료이지만 taker 수수료는 0.2%입니다.
기본 플랜은 maker와 taker 모두 0.1%로 균일하게 적용됩니다. 원화 입금은 무료, 출금은 1,000원입니다.
고팍스는 특이하게 maker 주문에 -0.025%가 적용되어 오히려 리베이트를 받을 수 있으며, taker 는 0.075%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다만 이벤트나 티어 조건에 따라 요율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원화 입금은 무료이고 출금은 1,000원입니다.
2025.08.12 - [Money&Economy Pod] - 업비트 코인 모으기 - 자동 분할 매수로 평단가를 낮춰요 !
업비트 코인 모으기 - 자동 분할 매수로 평단가를 낮춰요 !
최근 이더리움 가격이 급등하고, 비트코인도 12만 달러를 회복하면서 역대 최고가에 다시 근접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가상화폐 그러니까 코인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투자 전문가가 아니다 보
www.gomoneymore.com
Maker vs Taker 의 수수료 차이
위에서도 언급이 있었지만 가상화폐 거래에는 maker 와 taker 주문이 있습니다.
- Maker(메이커): 바로 체결되지 않는 지정가 주문으로 오더북에 유동성을 공급. 수수료가 낮거나 리베이트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Taker(테이커): 시장가 또는 즉시 체결되는 주문으로 오더북의 유동성을 소비. 보통 Maker보다 수수료가 높습니다.
즉 거래되고 있는 가상화폐의 현재, 지금 시세에 즉시 매수 또는 매도를 할 경우 taker 주문을 하게 되는 것이고, 현재의 시세가 아닌 내가 지정한 가격에 매수나 매도를 주문하게 되면 maker 주문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taker의 경우 현재 시세로 바로 거래를 체결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가상화폐의 유동성을 없애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유동성 소비) 보통 수수료가 발생하고 maker 보다 수수료가 높습니다.
반면 maker 는 내가 주문하고자 하는 금액을 오더북에 공유해 가상화폐 또는 원화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유동성 공급) taker 주문보다 수수료가 낮거나 오히려 리베이트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거래에서는 체결 속도, 호가 간격, 슬리피지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단순 수수료 비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거래소별 상세 비교
1. 업비트
일단 업비트는 국내 최대 거래소로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슬리피지 위험이 적습니다. 일반 주문 수수료는 0.05%로 낮지만 예약 주문은 0.139%라 다른 거래소보다 수수료 비용이 더 들 수 있습니다.
2. 빗썸
기본 수수료는 0.25% 로 국내 거래소들 중 가장 비싼 편이지만 쿠폰을 활용하면 0.04%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게다가 BTC 마켓은 거래 수수료가 무료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코인원
일반 수수료는 0.2% 수준이며, Open API 거래 시 0.02%라는 파격적인 우대 요율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자동매매나 프로그램 트레이딩을 활용하는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거래소입니다.
4. 코빗
무료 플랜을 이용하면 maker 수수료가 0%라서 지정가 위주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다만 taker 수수료는 0.2%로 높아질 수 있고, 플랜 변경 주기를 확인해야 합니다.
5. 고팍스
maker 주문에 -0.025% 리베이트를 제공해 적극적으로 지정가 주문을 넣는 이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다만 등급별/이벤트별 조건에 따라 요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FAQ
가장 저렴하게 거래하려면?
코빗 무료 플랜(maker 0%), 고팍스 리베이트, 빗썸 쿠폰(0.04%) 등을 활용하면 유리합니다.
원화 입출금 수수료는 모두 동일한가요?
입금은 모두 무료이며 출금은 대체로 1,000원 정액입니다. 단, 프로모션 시 출금 수수료 면제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코인 출금 수수료는 어떻게 다른가요?
자산·네트워크별로 다르며, BTC·ETH·XRP 등은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수시로 조정됩니다.
가상화폐 거래소 수수료 비교 요약정리
국내 5대 가상화폐 거래소들의 수수료를 비교해 보면 장단점이 극명하게 있습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업비트의 경우 수수료가 다소 비싼 반면 유동성이 풍부해 슬리피지 위험이 적고, 그 외 거래소들은 업비트보다 수수료가 저렴하거나 쿠폰 등을 이용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트레이딩 방식이 시장가 주문(maker)을 주로 하는지 아니면 지정가 주문(taker)을 주로 하는지, 자동 매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매매를 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해 보고 자신의 거래 방식에 맞는 거래소를 선택하는 것이 수수료를 절약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 될 것입니다.
참고: 모든 수수료·정책은 2025년 8월 14일 기준이며, 거래소 공지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실제 거래 전 반드시 공식 공지를 확인하세요.
2025.08.12 - [Money&Economy Pod] - 이더리움 시세 전망 신고가 갱신(+지금사도 될까?)
이더리움 시세 전망 신고가 갱신(+지금사도 될까?)
요즘 가장 핫한 코인이라고 하면 단연 이더리움(ETH)일 것입니다. 이더리움은 가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높은 코인임에도 불구하고, 솔라나 등 수수료가 저렴하고 속도가
www.gomoneymore.com